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전기기기 핵심 요약 암기법

by 푸루기 2025. 3. 1.
반응형

📌 전기기기 핵심 요약 & 암기법

(기본 개념 + 쉽게 외우는 암기법 정리)


🔹 직류기 (DC Machine)

권선 방식

  • 중권: 병렬회로 = 극수
  • 파권: 병렬회로 = 2개

손실 & 정류

  • 기계손: 풍손(공기 저항)
  • 불꽃정류 = 과정류

전기자 반작용

  • 자속 감소! (전기자 반작용 = 자속 방해)
  • 보극 사용 → 양호한 전류 얻음

브러시

  • 전압강하 > 리액턴스 전압이어야 함

균압환 & 균압선

  • 4극 이상 중권 → 균압환 필요
  • 직권 & 복권 → 균압선 필요

토크(T) 비례관계

  • 직권: T∝1N2T \propto \frac{1}{N^2}, T∝I2T \propto I^2 (전류 제곱에 비례, 속도 제곱에 반비례)
  • 분권: T∝1NT \propto \frac{1}{N}, T∝IT \propto I (전류에 비례, 속도에 반비례)

속도제어

  • 워드레오너드, 일그너 같은 어려운 방식 무시
  • 전압제어가 핵심
  • 저항(R), 전압(V), 계자(F) 제어 → RVF로 암기

가정용 & 의료용 소형 만능 전동기

  •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 (이름 제일 긴 거 찍어!)

🔹 동기기 (Synchronous Machine)

단락비(Short Circuit Ratio, SCR)

  • SCR 크면 효율 제외하고 다 낮음
    (동기 임피던스, 전압강하, 전압 변동률, 전기자 반작용)

병렬운전 조건 (동기발전기)

  • 파주위크 (파형, 주파수, 위상, 크기)
  • 위상이 다르면 → 동기화 전류(유효횡류) 흐름

V곡선

  • 그래프로 보면 쉽다! (굳이 설명 안 해도 됨)

🔹 변압기 (Transformer)

단락시험으로 구할 수 있는 것

  • 임피던스 전압 & 전압변동률

Y-Δ 결선 규칙

  • 홀수 조합 불가능! (예: Δ-Δ & Δ-Y ❌, Y-Y & Y-Δ ❌)

병렬운전 조건

  • 극성, 1·2차 정격전압, %임피던스 강하, 내부저항, 누설 리액턴스
  • "극정이내유(누)" 로 암기

변압기 보호 계전기

  • 부흐홀츠, 온도, 차동, 비율차동, 과전류

변압기유(기름) 구비조건

  • ❌ 점도 높은 거 (냉각 안 됨)

누설 리액턴스

  • N²에 비례

🔹 유도기 (Induction Machine)

종류

  • 농형 (소형) → "농ㅋㅋ"
  • 권선형 (대형)

극수 규칙

  • 유도기 극수 = 동기기 극수 - 2

토크(T) 비례 관계

  • T ∝ V² (전압의 제곱에 비례)
  • 문제 예: 토크 80% → 전압은 루트(0.8) 곱해주기

최대토크

  • 무조건 일정함 (무슨 일이 있어도 일정)

역방향 회전자계 속도

  • 2−s2 - s

기동 방법

  • 농형: 리모콘 전화(Y)기 (리액터, 콘덴서, 전전압, Y-Δ, 기동 보상기)
  • 권선형: 2차 저항 기동법

속도제어 방법

  • 농형: P, V, F (극수, 전압, 주파수) → PVF
  • 권선형: 2차 저항제어, 2차 여자법 → RF

단상 유도 전동기 종류

  • 반콘분셰 (반발기동, 콘덴서기동, 분산기동, 셰이딩코일)
  • 반발형 → "역회전 시 브러시 필요"

🔹 정류자 전동기 (Commutator Motor)

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

  • 직권형, 보상직권형, 유도보상직권형 (전부 직권형! 틀리면 손목 비틀어!)

보상권선 & 저항도선 역할

  • 보상권선: 역률 개선 & 전기자 반작용 상쇄
  • 저항도선: 단락전류 감소
  • "보역전 향단" 으로 암기

단상 반발 전동기 종류

  • 아트킨, 톰슨, 데리형 ("아톰데")

3상 분권 정류자 전동기

  • 시라게 전동기

🔹 특수기 (Special Machines)

서보모터 (Servo Motor)

  • 직류 서보모터 기동토크 > 교류 서보모터 기동토크
  • 직류 서보모터는 위상제어 불가 (직류에 위상 없음)

스테핑 모터

  • 개념 많아서 가성비 안 나옴 → 시험 문제 나오면 느낌 가는 대로 찍기

중간 변압기 사용 목적

  • 회전속도 상승 억제

📌 암기 요약본

직류기 → RVF, 전압제어
동기기 → 파주위크 (병렬운전 조건)
변압기 → 극정이내유(누) (병렬운전 조건)
유도기 → 농형(PVF), 권선형(RF)
정류자 전동기 → 보역전 향단, 시라게 전동기
기타 → 리모콘 전화(Y)기 (농형 기동법), 반콘분셰 (단상 유도 전동기)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