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🔹 기본 개념
- 2차측 회로 점검 시 → CT만 단락 (절연 때문)
- 재폐로 보호기기 → 리클로저
- 영상전류 공급기기 → ZCT (Z = Zero, 영상전류)
- 망상 배전방식 → 인축 접지사고 크다
🔹 차단기 & 보호 장치
- 아킹혼 → 애자 보호
- 후비보호장치 → 섹셔널라이저
- 퓨즈 → 단락전류 차단 용도
- 가스차단기 (SF6) → 근거리 차단에 유리, 무독성
🔹 전력계통 & 배전
- 전력계통 연계 시 → %임피던스 감소
- 배전선로 순서 → R - S - F
- 표피효과 (Skin Effect) → 전선 굵기↑, 주파수↑ → 표피효과도 증가
- 복도체 → 코로나 임계전압 상승
- 가공지선 → 전자유도 장해 감소
🔹 리액터 & 계전기
- 한류 리액터 → 단락전류 제한
- 소호 리액터 → 지락전류 제한
- 직렬 리액터 → 5고조파 억제
→ 외우는 법: 난 환단고기를 소지한단 느낌으로 ‘한단고직소지’ - 비율차동계전기 결선 문제 → 무조건 반대 결선 체크 (예: 델타-Y → Y-델타)
🔹 접지 & 보호
- 비접지 방식 → 지락전류 = 충전전류, 고장전류 계산 시 대지용량 사용
- 직접접지 → 지락전류 제외한 전위 상승, 절연레벨, 과도안정도는 낮음
- 소호리액터 접지 → 지락전류 가장 낮음, 차단능력 가볍고 유도장해 적음
🔹 송전 & 변전
- 직류송전 → 교류보다 안정도 높음
- 변전소 주변압기 → 강압 변압기
- 자동부하 전환개폐기 → 자동으로 배전선로 전환 (이거 틀리면 ㄹㅇ 안됨)
- 구분개폐기 → 보수 시 정전구간 축소
- 개폐서지 감쇄 → 개폐저항기
🔹 전압 & 무효전력 조정
- 계통 전압 조절 방법 → 무효전력 조정 (전무님!)
- 영상임피던스 필요한 경우 → 1선 지락 시
- 안정도 관련 문제
- 안정도 물으면 → 무조건 과도안정도 체크
- 안정도 종류 아닌 걸 물으면 → 상태 안정도 체크
🔹 발전소 & 원자로
- 수력발전소에서 낙차 얻는 방법이 아닌 것 → 양수식 발전소
- 케비테이션 방지책이 아닌 것 → 흡출수두 증대
- 비등수형 원자로 특징 아닌 것 → 노심 (이거 나오면 걍 체크!)
- 화력발전소 서순 암기법 → ‘절보과터복’ → 앞에 절보만 기억하면 됨
🔹 자주 헷갈리는 오답 포인트
- 연가의 효과가 아닌 것 → 대지 정전용량 감소
- 플리커 경감 방안이 아닌 것 → 공급 전압 낮추기
- 발전기 보호 계전기가 아닌 것 → 과전압 계전기
- 전력손실 경감 대책이 아닌 것 → 다중접지 방식 채용
- 역률 개선과 상관없는 것 → 절연 비용 절감, 선로 전류 증가
📌 핵심 암기 트릭
- ZCT = Zero Current Transformer (영상전류)
- 전무님 = 전압 조절은 무효전력
- 한단고직소지 = 한류, 단락 / 고조파, 직렬, 소호, 지락
- 피뢰기 = 전력공학의 예수 (좋아 보이는 쪽 찍으면 맞음)
- 비율차동 결선 문제 = 무조건 반대 결선 체크
- 화력발전소 서순 = 절보과터복 (절보만 기억하면 됨)
- 표피효과 = 굵기, 주파수 크면 증가
반응형
댓글